<양평시론> 용은성 편집국장

사상 초유의 ‘탄핵 대선’에 국민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대선이 빨리 치러지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전혀 준비할 시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탄핵은 예상됐기에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대선국면에 들어갔다. 25일 시작된 재외국민투표는 역대 최대 규모인 29만여명이 참여해 재외 국민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정치에 관심이 별로 없던 이들도 대통령 탄핵을 보면서 대통령을 잘 뽑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다만, 국민의 높은 관심에 비해 경마중계하듯 보도하는 언론사들의 선거보도가 여전히 아쉬울 뿐이다. 후보들이 속한 정당의 정책이나 후보 개인의 공약, 그리고 후보로서의 자질에 대한 분석이나 검증 없이 단순히 누가 여론조사에서 가장 앞서고 있고, 누가 당선 가능성이 높은지 등을 보도하는 행태다. ‘양강구도’니 ‘1강1중3약’이니 하는 말들이 나오고, ‘반문연대’, ‘2·3자 단일화’ 등과 같은 용어들이 쏟아진다. 후보들의 이름을 빗댄 조어(造語)들은 이번 대선에도 어김없다.

TV를 통해 나타나는 이번 대선의 국민적 열기가 양평에서 좀체 느껴지지 않는다. 낯선 장미대선 만큼 물선 광경이다. 사람들이 모인 장소에서도 대선이 화제인 경우를 거의 볼 수 없다. 주요 거리에 붙은 대선 후보 현수막과 간간히 보이는 선거유세전(이마저도 극히 일부 후보)이 전부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양평은 어느 지역보다 공고함을 자랑하는 보수지역이다. 역대 선거를 보면 명확하다. 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양평 득표율은 무려 65.8%다. 박 후보의 전국 득표율은 51.6%였다. 17대 대선 역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양평 득표율은 62.7%로 전국 득표율보다 14%p 높다.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된 16대 대선에서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이 노 대통령보다 오히려 17.7%p나 앞섰다.

지난 연말 새누리당 분당과 바른정당 탄생으로 보수의 결집이 분산됐다. 새누리당이 전신인 자유한국당의 지역위원장이 김선교 군수이고, 바른정당 창당을 이끈 이는 5선의 정병국 의원이다. 물과 기름이 각기 다른 보수의 수장이 됐으니 과거의 조직은 더 이상 무의미해졌다. 불과 몇 년 사이에 양평의 정치지형이 확 바뀐 것이다.

독주하는 더불어민주당도 마찬가지다. 부인 회사의 수질조작 사건으로 정계은퇴를 선언한 지역위원장이 보도자료까지 내며 약속한 지역위원장직 사퇴 소식은 두 달이 넘도록 들리지 않는다. 되레 지역 선거대책위원장으로 복귀했다. 그의 어정쩡한 처신을 두고 당내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그래서 이번 대선 양평 득표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보수 텃밭에서 두 당이 갈라졌고, 더민주 지역위원회는 군민의 신뢰를 져버렸다. 모두 상황이 여유롭지 못하다. 집권여당 새누리당에 참패를 안기고 3당 체제를 만든 20대 총선에서 나타난 민의는 정치개혁이었다. 민심을 거스르다 대통령 탄핵사태를 맞았다. 이번 대선 결과는 1년 후 지방선거의 향방과 직결돼 있다.  

저작권자 © 양평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