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마을, 왜 만들어야 하는가> 성종규 서종면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

아름다운 마을을 찾아가는 여행 46

 

충청남도 강경은 젓갈시장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알고 보면 강경은 젓갈만으로 유명한 곳은 아니다. 강경포구는 조선 말기 3대 시장의 하나인 강경장을 형성한 대단한 곳이었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무역이 집중되었던 곳이다.

강경포구는 미곡 등 곡물로부터 도자기나 철물 등의 수공업 제품, 전라도의 면포, 서해안의 소금과 해산물, 심지어는 함경도 원산에서 나는 명태까지 전국의 물품이 중부지역으로 유입되고 중부지역의 물품이 전국으로 유출되는 통로였다. 그러다가 1910년경 호남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포구의 기능이 점차 상실되고 강경읍은 쇠락하였지만, 강경의 화려했던 역사는 군데군데 남아 있다.

강경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근대문화유산을 돌아보기에 부족하지 않은 곳이다. 엄청나게 번성했던 곳인 만큼 1920년대부터 하역인부들의 노동조합이 결성되었었는데, 당시 일본식 목조건물로 지어진 노동조합 사무실이 근대문화유산으로 남아 있다. 당시 강경노동조합원은 3천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 외에도 강경의 명성을 간직한 건물들이 더 있다. 붉은 벽돌의 서구식 건물인 구 조선식산은행 강경지점, 1896년부터 예배를 드려왔다는 한국 최초의 침례교회인 강경침례교회 등이 있고, 포목상점, 전기상회, 잡화상, 양복점, 한약방 등의 옛 일본식 건물들이 온전히 남은 근대문화거리도 있다.

충남 논산시 강경읍의 강경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옛 건축물.

강경의 근대문화를 찾기 위해서는 우선 강경역사박물관을 들르는 것이 좋다. 강경역사박물관은 구 조선식산은행 강경지점 건물을 그대로 보존해 사용하고 있다. 강경의 상징인 근대건물을 보존하면서 바로 그 곳에 강경의 역사를 온전히 살려놓았다는 것은 겉과 속이 적절히 조화된 멋진 일이다.

박물관은 1800년대로부터 시대를 구분해 전시하고 있는데, 장롱, 청동거울, 놋그릇 등 조선 말기 생활용품으로부터 농기구, 수동미싱이나 전축, 타자기 등 근대 생활용품 및 포구에서 사용되던 작업도구 등 다양한 물건들이 일일이 이름과 설명을 붙여 당시의 풍경사진과 함께 전시돼 있다. 그야말로 강경의 오랜 역사를 한눈에 보는 공부의 재미가 있다. 강경역사박물관은 군데군데 자연스럽게 흩어져 있는 강경의 근대문화유산들을 살아 있는 역사로 만들어 준다.

마을박물관을 만들어 보는 일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마을만들기는 그 마을의 정체성을 기초로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마을의 중심에 그 마을의 역사를 보존한 마을박물관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은 주민들 스스로에게는 자부심을, 여행객들에게는 우리 마을의 역사를 자랑하는 좋은 계기가 된다.

벽화마을로 유명한 이화동은 낡은 구옥을 단장해서 마을박물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이 기증한 생활용품 및 사진들, 이화동의 역사를 대변하는 1950년대 국민주택단지에 대한 기록도 전시하고 있다.

이미 한번 언급한 적이 있지만 진안군 마령면 계서리의 오래된 계남정미소는 2005년경 공공문화예술에 관심 있는 어느 한 독지가에 의해 마을공동체박물관으로 변신했다. 독지가의 노력이 한계에 이르러 2012년 무기한 휴관했었지만 작년에 다시 뜻을 모아 재개장했다고 한다. 마을의 정미소는 동네 사람들이 누구나 모이던 사랑방이었다. 계남정미소는 이제 ‘쌀 대신 추억을 찧는 마을 사랑방’이라고 불린다.

폐교를 단장해 마을박물관을 만드는 곳도 있다. 마을박물관에 전시할 물품은 제한이 없다. 마을의 역사를 담은 사진이나 농기구, 생활잡화 등을 주민들로부터 수집하여 전시하면 된다. 충남 아산시에 있는 온양민속박물관은 어떤 물품들을 어떻게 전시하면 되는지 참고할 수 있는 좋은 곳이다.

우리나라는 도시나 농촌이나 할 것 없이 국적 없는 풍경으로 변해 왔다. 도시는 모두 고층아파트 세상이 되었으며 이제 농촌 또한 도시가 걸어온 길을 반복하려 하고 있다. 모든 것이 새로워지고 정형화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가장 로컬한 것이 가장 글로벌한 가치를 지닌 세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새로운 것은 언제든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오래된 것들은 한번 사라지면 다시는 살리지 못한다. 오래된 것들이 모두 사라지면, 우리의 유전자조차 우리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양평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